나라지식정보 주춧돌LM과 구글 NotebookLM 비교표 -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총론 및 첫 10권 이미지 활용. 본 기술과 가장 유사성이 높은 Notebook LM과 성능 비교. 성능 비교를 위해 30쌍의 질문-답변-출처 평가세트를 활용해 결과를 LLM Judge 방식으로 비교
서울--(뉴스와이어)--AI 기반 데이터 전문 기업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자사의 ‘주춧돌(Juchutdol)’팀(팀대표 이규민 선임 외 김소정, 안준모, 이형일, 장태홍, 임지현)이 개발한 ‘주춧돌LM: 고전 연구의 기반을 세우는 AI 에이전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2025년도 인공지능 챔피언(AI Champion)’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챔피언(AI Champion)’ 대회는 혁신적인 AI 기술과 서비스를 발굴하고 R&D를 지원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AI 경진대회다. 주춧돌팀은 총 630개 연구팀이 경합한 사전 심사를 통과한 100개 팀 선발에 이어 중간 결과물 심사를 통해 상위 20개 팀을 선발하는 본선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주춧돌LM’은 OCR 오류, 번역의 어려움 등 고문서 연구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개발된 AI 에이전트다. 특히 나라지식정보가 자체 개발하고 KOLAS 인증을 획득한 AI OCR 솔루션 ‘Ancient Document Cube’를 기반으로 한문 해서, 행서, 초서체까지 높은 정확도로 인식해 데이터 처리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주춧돌LM’의 가장 큰 차별점은 연구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독자적인 기능에 있다. 첫째, AI가 답변의 근거가 되는 원문 텍스트를 이미지에서 직접 하이라이트로 제시해 사용자가 즉시 출처를 대조, 확인할 수 있다. 둘째, AI의 오류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하면 번역, 인덱스, 지식 그래프까지 연동 업데이트되는 ‘Human-in-the-Loop’ 시스템을 구축해 AI가 연구자와 함께 성장하도록 설계됐다.
자체 평가에서 구글 ‘NotebookLM’과 비교 시 ‘정확성’, ‘관련성’ 지표에서 경쟁 기술을 앞섰다. 특히 정답 출처와 시스템 제시 출처의 일치율을 뜻하는 ‘Hit Rate’ 지표에서는 0.40을 기록, 단 한 건도 맞추지 못한 NotebookLM(0.00) 대비 압도적인 성능을 보였다.
나라지식정보 손영호 대표는 “이번 대회 본선 진출은 15년 이상 축적해 온 고문헌 디지털화 경험과 독자적인 AI 기술력의 결실”이라며 “‘주춧돌LM’을 통해 입증된 기술력은 향후 자사의 핵심 사업이 될 ‘지능형 검색 솔루션’의 기반이 될 것이며, 12월까지 최소 기능 개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공공, 금융, 법률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나라지식정보 소개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 나라지식정보는 한국의 언어, 역사, 문화 데이터를 중심으로 공공사업 및 AI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으로, 국립국어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가유산청, 문화체육관광부, 국가기록원, 한국은행 등 2008년부터 180여 개 기관의 600여 개 데이터 사업을 수행했다. 2020년부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과제 18개를 수행, 2023년부터 자체 개발 AI OCR의 국제 대회 수상 및 고도화, AI Hub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추천시스템(TRS), RAG LLM 등의 신기술 개발과 더불어 AI 콘텐츠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이노비즈 AA등급,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강소기업, 가족친화기업 인증과 더불어, 장애인 표준사업장 인증을 받은 자회사 한소울지식정보 설립, 국제 IT 거버넌스 장애인 표준화 추진 등을 통해 사회적 역할도 이어나가며, 2025년 자체 기술과 신기술 결합 솔루션 개발을 통해 도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