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일본--(뉴스와이어)--메모리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인 키오시아(Kioxia Corporation)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사용을 최적화해 검색 증강 생성(RAG) 시스템 내에서 AI 벡터 데이터베이스 검색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3일(현지 시간) KIOXIA AiSAQ™(All-in-Storage ANNS with Product Quantization)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 새로운 오픈소스 릴리스는 시스템 설계자가 시스템의 SSD 스토리지의 고정 용량에 있어 상반되는 두 요소인 검색 성능과 벡터 수 간의 균형점을 정의할 수 있는 유연한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RAG 시스템 설계자는 하드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특정 워크로드와 요구 사항 사이의 최적 균형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2025년 1월에 처음 출시된 KIOXIA AiSAQ 소프트웨어는 SSD에 최적화된 새로운 ANNS(Aapproximate Nearest Neighbor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해 DRAM에 인덱스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KIOXIA AiSAQ 기술은 SSD에서 직접 벡터 검색을 지원하고 호스트 메모리 요구 사항을 줄임으로써 한정된 DRAM 용량으로 인한 제한 없이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시스템에 설치된 SSD 용량이 고정돼 있을 경우 검색 성능(초당 쿼리 수)을 높이려면 벡터당 더 많은 SSD 용량을 소모해야 한다. 이는 벡터의 수를 줄이는 결과를 유발한다. 반대로 벡터의 수를 최대화하려면 벡터당 SSD 용량 소모를 줄여야 하는데, 이는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이 두 가지 상반된 조건 사이의 최적 균형은 구체적인 워크로드에 따라 달라진다. 적절한 균형을 찾기 위해 KIOXIA AiSAQ 소프트웨어는 유연한 구성 옵션을 제공한다. 이 최신 업데이트는 관리자가 RAG 시스템의 다양한 워크로드에 대해 최적의 균형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업데이트를 통해 KIOXIA AiSAQ 기술은 RAG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시맨틱 검색과 같은 벡터를 많이 사용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한 SSD 기반 ANNS가 됐다.
확장 가능한 AI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SSD는 RAG 시스템에 필요한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DRAM에 대한 실용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KIOXIA AiSAQ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한정된 메모리 리소스로 인한 제한 없이 대규모 생성형 AI를 구현해 이러한 수요를 효율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
키오시아는 KIOXIA AiSAQ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로 출시해 확장 가능한 AI를 위한 SSD 중심 아키텍처의 도입을 촉진함으로써 AI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을 강화한다.
KIOXIA AiSAQ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github.com/kioxia-jp/aisaq-diskann
* KIOXIA AiSAQ: 인덱스 데이터 배치의 새로운 방식인 All-in-Storage ANNS with Product Quantization은 Kioxia의 상표이다.
* 다른 모든 회사명, 제품명 및 서비스명은 타사의 상표일 수 있다.
키오시아 소개
키오시아(Kioxia)는 플래시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개발, 생산, 판매에 전념하는 메모리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 리더이다. 2017년 4월 회사의 전신인 도시바 메모리(Toshiba Memory)는 1987년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를 발명한 도시바 코퍼레이션(Toshiba Corporation)에서 스핀오프했다. 키오시아는 고객이 만족하는 선택과 사회를 위한 메모리 기반 가치를 창출하는 제품, 서비스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메모리’로 세상을 발전시키는 데 전념하고 있다. 키오시아의 혁신적인 3D 플래시 메모리 기술인 BiCS FLASH™는 고급 스마트폰, PC, 자동차 시스템, 데이터 센터 및 생성형 AI 시스템을 포함한 고밀도 응용 분야에서 스토리지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본 문서에 포함된 제품 가격 및 사양, 서비스 내용, 문의처 등의 정보는 발표일 현재 정확하며, 사전 통지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